홈페이지 | 종합 게시판 | 알리는 글 | 상위 홈으로 | 게시판 관리 |
갑자기 '지렁이'가 보고 싶어서….
그래서 찾아봤지요. 여러 링크가 나왔지만, 검색엔진에 걸린 '극소수 정보'만으로도 여기가 내가 찾는 거로 가장 적절해 보입니다.
'유엔환경계획 한국협회' 사이트에 오른 글(16 지렁이의 경이로움), 작성자: 유넵(국제연합환경계획)
http://www.unep.or.kr/sub/sub05_01_02.php?mNum=5&sNum=1&boardid=tunza&mode=view&idx=1056
훑어보니 맨 처음 짐작했던 거보다 아니, 그보다 먼저 보고 싶었을 때 기대했던 것보다도 그 내용이 더욱 알찹니다.
그래서 복사하여 여기에 옮겨볼게요.
참고로 이 사이트에는 이 글 말고도 우리 삶에 이로운 글이 엄청나게 많을 거로 여겨집니다.
--------------------------------------------------------------------------------
지렁이의 경이로움
~ 사랑 ~
그림1 D. Kurmaic
원본: http://www.unep.or.kr/wizboard/table/root/EasyEditor/201207301556563606.jpg
찰스다윈(Charles Darwin)은 “종의기원”으로 유명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들으면 용감한 뱃사원이라 불리우는 거대한 거북이를 떠올리거나 되새의 부리를 떠올릴 것 입니다.
하지만 1881년 출판된 그의 마지막 저서에서 그는 40년 넘게 본인이 애착을 가지고 연구한 개체인 지렁이에 대한 연구를 총망라 했습니다.
그가 죽기 바로 직전 출판된 “지렁이의 기능을 이용한 식물성 곰팡이의 형성, 그리고 지렁이의 습성 관찰”이라는저서를 보면 다윈은 지렁이 연구에 매료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저서는 땅속에 사는 지렁이의 지대한 중요성을 인정한 첫번째 학문적 자료 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붉은지렁이(Lumbricus terrestris)를 비롯하여약 전 세계에 6000 종의 지렁이가 있습니다.
지렁이는 많은 종류의 새와 동물에게 영양가 높은 먹이이기 때문에 먹이 사슬에서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이 엄청난 환형 동물은 토양을 통기시키는 또 하나의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지렁이들은 흙을 섞고 퇴적물을 재이용하여 땅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바꾸는 생물 교란작용을 합니다.
지렁이의 움직임으로 만들어지는 땅굴은 퇴적물을 섞어 놓습니다.
이러한 지렁이의 역할은 식물 뿌리와 다른 땅 속 생물들에게 높은 영양분을 제공하고 땅 속의 물 투과율을 높입니다.
지렁이 배설물은 토양의 윗부분 10센티미터의 표토 보다 최대 40퍼센트 정도 많은 부엽질을, 다섯 배나 많은 질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동식물을 소화하면서 만들어진 여러 종류의 광물과 화학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좋은환경이 주어진다면 한마리의 지렁이가 1년 동안 4.5 키로의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1 평방미터의 흙에는 대략 432 마리의 지렁이가 살고 있습니다.
즉 1헥타르의 땅에 4억 3천 2백만 마리의 지렁이가 살고 있다는 뜻 입니다.
지렁이가 토양의 화학적 구성과 생물학적 건강의 주요 기여자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농학자들은 이러한 지렁이의 역할을 기억하고 지렁이가 잘 번식하고 살아 남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최초로 지렁이의 가치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사람은 다윈이었습니다.
다윈은 2, 30년 에 걸친 연구를 통해 돌 같이 움직이지 않는 물체들이 어떻게 땅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동하고 가라 앉는지를 유심히 관찰 하였습니다.
그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환경 재구성에 지렁이가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달았습니다.
다윈은 2000년 전의 로마 유적들이 지렁이의 캐스팅에 의하여 묻혀졌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지렁이는 지표면의 물건을10년에 22센티미터 정도로 덮어 버릴 수 있습니다.
다윈은 “지렁이만큼 지구의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물은 없을 것 이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가이아(Gaia) 가설을 최초로 제시한 제임스 러브락(James Lovelock)같은 현대 과학자도 이 관점에 공감합니다.
러브락은 지구의 살아있는 모든 시스템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은 주로 “땅속 거주자들, 즉 미생물, 곰팡이, 지렁이, 변형균, 그리고 나무가 한다”라고 설파 하였습니다.
지렁이는 토양의 건강한 삶에 매우 중요한 존재 입니다.
그러므로 지구 생태계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지렁이가 꼭 필요 합니다.
다윈이 처음 발견한 지렁이의 역할에 우리 모두 경의를 표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런던에있는임페리얼컬리지(Imperial College)에서세포생물학과분자생물학을배우고있는루크로버츠(Luke Roberts) 저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갑자기 '지렁이'가 보고 싶어서…. | 류중근 | 2022.12.29 | 3 |
67 | 페이스북 이거 어디까지가 진실일까? | 류중근 | 2022.12.28 | 3 |
66 | 자정에는 당연히 달력이 다시 켜지는 줄 알았는데…. | 류중근 | 2022.12.25 | 7 |
65 | 작업표시줄에 둔 아이콘 클릭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컴퓨터 종료! | 류중근 | 2022.12.22 | 3 |
64 | 좀 전에 페이스북에서 한 진보 인사의 어떤 글을 보면서 느낀 점입니다. | 류중근 | 2022.12.20 | 7 |
63 | 유령으로 변한 작업표시줄 덕분에^ | 류중근 | 2022.12.14 | 3 |
62 | 어제는 인제 'IE' 지원하지 않는다는 걸 깜빡 잊었습니다. | 류중근 | 2022.12.06 | 6 |
61 | 브라질을 위로하면서~ | 류중근 | 2022.12.06 | 4 |
60 | 다음 국어사전에서는 '허심탄회'를 이렇게 말합니다. | 류중근 | 2022.12.02 | 3 |
59 | 흐흐, 다른 거 보느라고 내버려 둬도 저절로 달력이 넘어가니까 기분이 좋다!^! | 류중근 | 2022.11.30 | 2 |